‘농민공(农民工)’. 개혁개방 이후 중국 경제의 급속한 성장을 설명하는 열쇳말 가운데 하나다. 농민의 신분을 유지한 채 도시로 유입돼 저임금 노동력을 제공하며 중국이 임금 경쟁력에서 비교우위를 차지할 수 있도록 만든 당사자들이다.하지만 2020년 이후 농민공은 그 규모가 감소했고, 그와 함께 중국 경제에도 ‘이상 신호’가 켜지기 시작했다. 이제 농민공 문제는 중국 기업들은 물론이고, 중국에 진출하려는 해외 기업들에게도 필수적인 고려사항이 됐다. 중국 경제의 버팀목이었던 그 많던 농민공은 다 어디로 갔을까? 김경환 필자의 얘기를 들어보자. [편집자 주]

✔ 2000년대 초반 이미 시작됐던 농민공 부족 현상
✔ 구직난에서 구인난으로 전환된 중국의 노동 시장
✔ 인구 줄면서 감소한 노동가능인구와 청년 노동력
✔ 3D 업종 기피 현상, 업종별 취업구조에 영향 미쳐
✔ 노동력 부족과 제조업 분야 임금 상승에 대비해야

명절을 맞아 집으로 돌아가려는 중국의 한 노동자가 짐을 들고 광저우역으로 향하고 있다. (사진: 연합뉴스)

1. 농민공이 다시 주목받고 있는 이유는?

개혁개방 이후 중국 정부는 노동력을 공급하기 위해 엄격하게 통제하던 농민의 도시 유입을 허용하였다. 농업호구를 유지한 채 도시로 유입한 농민을 '농민공(农民工)'이라 부른다. 1990년대 중국 경제가 급속히 성장하면서 일자리를 찾아 도시로 이동하는 농민공도 급속히 증가하였다. 당시 중국 사회는 농민공의 도시 유입을 ‘농민공의 밀물(民工潮)’ 혹은 ‘마르지 않는 샘물’로 표현하였다. 1987년 1910만 명에 불과하던 농민공은 2000년 1억 2100만 명에 이르렀다. 그야말로 농민공은 밀물처럼 도시로 모여들었다.

그런데 마르지 않을 것만 같았던 농민공 수가 2020년 사상 처음으로 감소하였다. 사실 중국의 농민공 부족 현상은 이미 2000년대 초반부터 출현하였다. 당시에는 일부 지역, 일부 기업에서 나타나는 일시적인 현상이라는 의견이 지배적이었다. 그러나 2009년 농민공 부족 현상이 다시 발생하자 중국 사회는 농민공에 대해 주목하게 되었다. 해석도 분분했다. 일부는 중국의 농촌에는 여전히 노동력이 풍부하여 현 상황은 단순히 구조적인 문제라고 하였고, 일부는 중국은 루이스 전환점(Lewisian Turning Point)에 도달하였다고 주장하였다. 논란의 결론이 아직 내려지지 않은 2020년, 사상 처음으로 농민공의 절대치가 감소하였다.

루이스 전환점(Lewisian turning point)은 개발도상국에서 농촌의 노동력을 확보하는 데에 어려움을 겪어, 임금은 급등하고 성장은 둔화하는 현상을 말한다. (사진: IMF Working Paper, Chronicle of a Decline Foretold: Has China Reached the Lewis Turning Point?)

농민공이 노동 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대단히 크다. 국가통계국의 자료에 의하면, 농민공은 전체 2차 산업 취업자의 65.5%, 3차 산업의 41.5%(2021년 기준)를 차지한다. 여전히 노동집약적 기업이 산업 구조에 차지하는 비중이 큰 중국의 경우, 농민공의 공급이 부족하면 기업 경영, 나아가 경제 전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농민공 공급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인구구조, 경제성장률, 학력, 소득, 산업 구조, 취업 인식 등 다양하다. 그러나 필자가 보기에 가장 중요한 변수는 인구구조이다. 왜냐하면 인구구조의 변화는 비교적 장기간에 걸쳐 진행되고 여파도 장기간에 걸쳐 나타나기 때문이다. 다시 말하면 중국의 농민공 부족은 이미 오래전부터 시작되었고 그 영향도 장기간에 걸쳐 지속될 것이다. 따라서 한국의 중요한 경제 파트너인 중국의 이러한 변화에 대해 우리는 주목하고 대응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글은 농민공 부족의 원인을 세 가지 측면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하나는 중국의 인구구조이며 다른 하나는 중국 농촌의 인구구조이다. 마지막으로 중국 농민공의 인구구조를 통해 한국 기업에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2. 농민공은 얼마나 부족한가?

먼저 중국 노동 시장의 부족 상황을 살펴보면, 해마다 부족이 심각해지고 있다. 중국 정부가 조사한 노동 시장의 구인구직 비율 (구인구직 비율이 1 이하면 구직난이, 1 이상이면 구인난이 일어남을 의미함) 변화가 [그림1] 이다. 2001년 0.71, 2002년 0.79로 1을 하회하며 중국의 노동 시장에는 구직난이 발생하였으나 2010년 1을 넘어서며 구인난으로 전환되었다. 이 시점은 중국 사회에 전국적인 농민공 부족 현상이 나타난 시점과 일치한다. 중국의 구인구직 비율은 매년 상승하여 2018년 1분기 1.23으로 상승하였고 2021년 1분기에는 1.60으로 상승하였다.

출처: 분기별 部分城市公共就业服务机构市场供求状况分析).

다음으로 산업별 구인구직 비율을 보면, 2021년 1분기 기준, 제조업의 부족이 심각하다. 국가통계국의 조사 대상 기업 중 85.3%가 구인난에 처해 있는데, 그 가운데 42.1%가 제조업이다. 서비스업은 숙박·음식료업 10.0%, 주거 서비스, 수리 및 기타 서비스업 8.7%, 도소매 서비스업 3.6% 등 업종별로 상이하나 서비스업은 제조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노동력의 수급이 원활하다.

3. 농민공은 왜 부족한가?

그 원인을 먼저 전체 인구구조의 측면에서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인구증가율의 감소이다. 중국은 지금까지 7번의 인구 센서스 조사를 시행하였다. 1차 인구 센서스를 실시한 1953년 5.94억 명이었던 인구는 2020년 7차 조사에서는 14.12억 명으로 증가하였다. 그러나 연평균 인구증가율은 1964년 1.43%에서 1982년 2.08%로 정점을 찍었다가 2020년 0.53%까지 하락하였다. 인구증가율의 감소로 전체 인구수의 증가세도 둔화되었다.

둘째, 노동가능인구(15~64세) 비중의 감소이다. 산아 제한 정책은 연령대별 인구구조의 변화를 초래하였다. 1953년 전체 인구의 59.3%를 차지하던 노동가능인구는 1982년 61.5%, 2010년 74.5%로 정점을 찍은 후 2020년 68.6%로 하락하였다. 노동가능인구의 감소는 농민공의 규모와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다. 국가통계국의 자료에 의하면, 노동가능인구와 농민공 증가율은 2010년을 정점으로 동반 하락하고 있다. 노동가능인구의 감소가 농민공의 감소로 이어지고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농촌 인구구조의 변화가 농민공의 공급을 감소시키고 있다. 구체적으로 보면, 첫째, 농촌인구의 감소이다. 개혁개방과 함께 시작된 공업화는 농촌인구의 도시 이동을 유발하였고 그 결과, 농촌인구는 지속적으로 감소하였다. 1978년 전체 인구의 82.2%를 차지하던 농촌인구는 2020년 36.2%로 줄어들었다. 특히 2010년 이후 농촌인구의 감소 폭이 두드러진다. 2010년 6.71억 명이었던 농촌인구는 2020년 5.10억 명으로 감소하였다. 농촌에서 도시로 공급되는 노동력의 기본 규모가 감소한 것이다.

둘째, 농촌 청년 노동력의 감소이다. 청년 노동력은 노동 시장의 핵심이다. 특히 중국의 제조업과 서비스업은 청년 노동력의 수요가 크다. 노동 시장에 공급되는 청년 노동력을 현재와 미래로 나누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 공급이 가능한 연령대의 구조이다. [표1]을 보면, 15~29세의 농촌인구는 2010년 1억 4598만 명에서 2020년 6836만 명으로 7762만 명 감소하였다. 연령대별로 나누어 보면, 15~19세 인구는 동 기간 4630만 명에서 1951만 명으로 감소하였고, 20~24세는 5635만 명에서 2130만 명, 25~29세는 4333만 명에서 2735만 명으로 감소하였다. 즉시 농민공으로 전환될 수 있는 청년 농촌인구 수가 10년간 대폭 감소하였음을 알 수 있다.

출처: 国家统计局 中国统计年年鉴(2010, 2020年)

둘째, 미래 공급이 가능한 연령대의 구조이다. 농민공이 중학교를 졸업한 15세부터 도시로 이동하는 것을 고려하면 0~14세 농촌인구는 잠재적인 노동력 공급원이다. 그 구조적 특징을 보면, 0~14세 농촌인구는 2010년 8242만 명에서 2020년 7020만 명으로 1222만 명 감소하였다. 연령대별로 나누어 보면, 0~4세 인구는 동 기간 4460만 명에서 2802만 명으로 감소하였고, 5~9세는 4032만 명에서 3471만 명, 10~14세는 4210만 명에서 3550만 명으로 감소하였다. 2017년 기준, 농업호구자의 고등학교 진학률 37%를 감안하면 향후 15년간 최대 4423만 명, 연평균 295만 명의 농촌인구가 농민공으로 전환될 수 있으나 고령노동자의 퇴출과 도시호구로의 전환 등을 고려하면 농민공의 순증가는 그보다 적을 것이다. 노동력으로 전환될 가능성이 있는 농촌인구의 규모가 감소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농민공의 인구구조 변화가 농민공의 부족을 야기하고 있다. 주요 특징은 다음 두 가지이다. 첫째, 청년 농민공의 감소이다. 2010년 16~20세, 21~30세 인구가 전체 농민공 가운데 차지하는 비중은 각각 6.5%, 35.9%였는데 2015년 3.7%, 29.2%, 2021년 1.6%, 19.6%로 감소하였다. 동 기간 청년 노동력의 절대치도 큰 폭으로 감소하였다. 2010년 1억 270만 명이었던 16~30세 농민공의 규모는 2015년 9129만 명, 2021년 6201만 명으로, 2010년 대비 39.6% 감소하였다.

여기서 짚고 넘어가야 할 사항은 청년 농민공의 취업 인식이 이전 세대와 다르다는 점이다. 청년 농민공은 개혁개방 이후 출생하여 이전 세대와 달리 부족함을 겪지 않았다. 다시 말하면 청년 농민공은 어렵고 힘든 일을 선호하지 않는다. 청년 농민공의 이러한 취업 인식은 업종별 취업구조에도 영향을 미친다. 국가통계국의 자료에 의하면, 2013년 제조업으로 대표되는 2차 산업의 농민공 취업 비중은 56.8%였는데 2021년 48.6%로 하락하였다. 반면 서비스업인 3차 산업은 동 기간 42.9%에서 50.9%로 증가하였다. 농민공의 선택이 덜 어렵고 작업환경이 양호한 3차 산업으로 몰리고 있는 것이다.

둘째, 농민공의 고령화가 심화되고 있다. [표2]를 보면, 50세 이상의 장년층 규모와 비중이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2010년 3125만 명이었던 50세 이상 농민공은 2015년 4967만 명, 2021년 7985만 명으로 11년간 4860만 명 증가하였다. 농민공의 평균 연령도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다. 2008년 34.0세였던 평균 연령은 2015년 38.6세, 2021년 41.7세로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출처: 国家统计局 农民工监测调查报告(2010, 2015, 2021年)

이런 상황은 두 가지를 의미한다. 하나는 농민공의 연령대가 높아짐은 농민공의 수요가 청년 농민공뿐만 아니라 장년 농민공으로 확대되고 있다는 것이다. 농민공 부족 현상이 심화되면서 장년 농민공의 수요도 확대되고 있다. 다른 하나는 고령 농민공이 증가하면서 노동 시장에서 퇴출되는 농민공의 수도 지속적으로 확대될 것이다. 국가통계국은 2021~2025년 5년간 퇴출되는 농민공 수가 7540만 명에 달할 것으로 예측하였다. 동 기간 추가되는 농민공 수가 5588만 명임을 고려하면 5년간 1952만 명의 농민공이 감소할 것이다.

4. 농민공 부족에 대한 한국 기업의 대응 전략은?

결론적으로 중국의 인구구조는 농민공의 공급 부족을 심화시킬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 대응하여 한국 기업은 다음을 준비해야 한다. 첫째, 농민공 부족 현상의 심화로 기업은 노동 시장에서 노동력을 구하기 힘들어질 것이다. 특히 청년 농민공이 선호하지 않는 업종, 예컨대 제조업 등은 노동력을 구하기 더욱 힘들어질 것이다. 이와 반대로 청년 농민공이 선호하는 업종, 예컨대 배달, 택배 노동 등은 노동력을 구하기 용이해질 것이다. 제조업을 기반으로 중국 시장에 진출한 한국 기업은 노동력 부족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

중국의 한 공장에서 노동자들이 선풍기를 조립하고 있다. (사진: 셔터스톡)

둘째, 농민공 부족 현상이 심화됨에 따라 노동비용이 지속적으로 상승할 것이다. 이미 농민공의 임금은 지난 10년간 큰 폭으로 상승하였다. 청년 농민공의 선호도에 따라 임금의 상승 정도도 다르게 나타날 것이다. 농민공이 선호하지 않는 제조업 등 전통적인 업종의 임금은 상승할 가능성이 크다. 이에 대한 대비도 필요한 시점이다.


글쓴이 김경환은
농민공의 사회경제적 특징과 영향을 주제로 부경대에서 석박사 학위를 받았다. 부산대 중국연구소에서 박사 후 연수연구원을 역임하고 2019년부터 경성대 중국학과에 재직 중이다. 현재 중국 노동 시장의 변화, 중국 부동산 시장의 문제. 중국 농촌 시장의 발전을 연구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