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bpx
최근 편집 2023.06.05. 00:00
책 세상으로 초대

[책 세상으로의 초대] <소설의 쓸모>에 대한 작가 6명의 시선

“보석상자를 통째로 주운 듯한”(김석희), “발견의 기쁨을 누리게 하는”(조성은), “삶의 굽이굽이마다 생각과 삶에 파문을 일으키는 작은 돌”(송광용), “소설을 좋아하고 소설을 쓰고픈 분들에게 건네는”(이동식), “인간의 겉과 속을 보여주는”(유용선), “소설을 읽는 인간과 그들이 사는 세계에 대한, 에세이들”(김봉석). 번역가이자 작가인 박산호가 최근 낸 에세이집 <소설의 쓸모>에 대해 동료 작가 6명이 페이스북에 쓴 글들을 모았다. <소설의 쓸모>에...

더보기

[책 세상으로의 초대] 8월, 이 책 6권!

덥다, 짜증난다. 30도를 훌쩍 넘는 폭염의 기세에 숨이 막히는데, 코로나19까지 재유행하고 있으니. 몸과 마음의 활력이 자꾸만 바닥을 향하는 느낌이다. 이럴 때 '책 세상’에서 돌파구를 찾아보면 어떨까. <피렌체의 식탁>은 대표적인 독서가 6명한테서 8월 휴가철에 읽으면 좋을 책 1권씩을 추천받았다. 그야말로 믿고 읽어도 되는 도서들이다. 게다가 독서가 6명의 ‘추천의 글’ 또한 읽는 재미가 쏠쏠하다. 짧지만 강력하다. [편집자 주] ✔장하석 <물은...

더보기

[박재영 칼럼] 대통령과 셀럽들의 ‘책밍아웃’을 기대한다

해마다 여름 휴가철이면 버락 오바마 전 미국 대통령은 그해의 '여름 독서 리스트'를 SNS에 공개한다. 빌 게이츠의 독서 리스트도 유명하다. 오바마 전 대통령은 '책에는 음악이나 TV 프로그램, 영화와 다르게 나를 안정시켜주는 특별한 힘이 있다'고 인터뷰에서 밝힌 적 있을 정도로 애서가이자 다독가이다. 그의 독서 리스트는 정치, 실용, 문학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를 아우른다. 최근 애플 티비에서 드라마로 공개된 <파친코> 역시 오바마의 독서 리스트를 통해 유명세를...

더보기

[책 세상으로의 초대] ‘아들+남편+아빠’가 말해주는 여성 혐오의 흑역사

최근 폐막한 도쿄올림픽은 이전의 올림픽 때와는 전혀 다른 분위기로 흘러갔다. 하계올림픽에 출전한 역대 한국선수 가운데 첫 금메달 3관왕의 영예를 얻은 여자 양궁 국가대표인 안산 선수가 '페미니즘' 논란에 휩쓸렸기 때문이다. 안산 선수의 짧은 헤어스타일과 과거 발언들을 빌미로 일부 남성들이 안 선수에게 '여성 혐오'를 표출했고 이로 인해 한국사회는 한 차례 큰 홍역을 겪었다. <판도라의 딸들 여성 혐오의 역사>는 이처럼 한국사회의 큰 갈등으로 부각한 '여성 혐오'...

더보기

[일상으로의 초대] 2030이 꼽은 여름철 ‘집콕 휴가’ 플레이리스트

폭염, 폭우와 코로나19로 인해 ‘스트레스’가 가중되는 요즘이다. 예년 7월 하순 같았으면 여름휴가 인파로 고속도로와 공항이 붐볐지만 올해는 서로의 건강과 무탈함을 기원하며 '집콕'을 가장 바람직한 휴가로 꼽는다. <피렌체의 식탁>은 20대, 30대 젊은 필자들에게 더위를 잊고 지적 자극을 받을 수 있는 여름휴가철 콘텐츠를 추천받았다. 2030세대 필자들은 책, 영화뿐만 아니라 웹소설, 웹드라마 등 다양한 장르의 콘텐츠를 권한다. 대중적으로 널리 알려졌다기보다...

더보기

[일상으로의 초대] 코로나19 출구에서 OOO를 외치다

일상을 옥죄고 있는 코로나19는 아직 진행 중이다. 여전히 ‘사회적 거리두기'가 실시되고  확진자 역시 날마다 수백 명씩 나오고 있다. 그러나 희망이 생겼다. 미국과 유럽은 백신 접종 덕에 집단면역 수준에 다가서고 있다. 한국도 백신 접종을 한지 105일 만인 6월 10일 1차 접종자가 1000만 명을 넘어섰다. 오는 11월까지 집단면역을 달성하겠다는 목표가 앞당겨질 가능성도 엿보인다. <피렌체의 식탁>은 코로나19 위기의 출구가 가시화되는 상황에서 여러 필자들의...

더보기

[책 세상으로 초대] 팬데믹 시대, 나를 위로해준 책들

지난해 3월 11일 WHO가 선언한 코로나19 팬데믹이 1년을 넘어 장기화 되고 있다.  WHO에 따르면 코로나19 확진자는 4월 초 현재 1억3100만명에 달하며 사망자는 284만명에 이른다. 한국은 확진자나 사망자수가 다른 국가보다 확실히 적은 편이지만 안심할 단계는 아니다. 코로나19 백신 접종이 아직은 원활하지 않아서다. <피렌체의 식탁>은 사회 각계 각층의 필자들로부터 팬데믹 시대에 위로를 받았던 책들을 추천 받았다. 코로나19로 세상은 이전보다 위험에...

더보기

[책 세상으로 초대] 글쟁이 열 명이 말하는 ‘휴가철에 읽을 만한 책들’

“우리가 역사적인 웜홀(wormhole)에 들어섰다는 점을 강조하고 싶습니다. 역사의 정상적인 법칙들은 중단되었습니다. 몇 주 전만 해도 불가능했던 일이 평범한 일로 자리 잡았습니다.”(<사피엔스>의 저자 유발 하라리)코로나 바이러스의 세계적 대유행(팬데믹)이 본격화할 무렵 <피렌체의 식탁>은 인간역사의 묵시록적 미래 예감 속에, 책을 통해 위로와 공감, 새로운 지혜와 통찰을 얻을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으로 기획기사를 내보냈다.[책 세상으로 초대-이런...

더보기

[최재천 교수 추천사] 《협력의 역설》 토론 아닌 ‘熟論’을 위해 필요한 협력의 기술

피렌체의 식탁은 최근 발간된 책 《협력의 역설》을 소개한다. 캐나다 출신의 갈등 해결 전문가 애덤 카헤인이 쓴 이 책의 원 제목은 ≪Collaborating with the Enemy≫다. 최재천 이화여대 에코과학부 석좌교수가 추천의 글을 썼다. 한국 사회는 어느 때보다 소통, 포용, 통합이란 단어를 빈번하게 쓰지만 정작 현실은 딴판이다. 대립, 갈등은 때로 충돌, 적대감으로 치닫고 아예 대화와 타협을 거부하기에 이른다. 진영논리로 나뉘어 곳곳에서 대치 전선이 발견된다. 이...

더보기

[책 세상으로 초대] 이런 시절에 읽어볼 만한 책

세계 주요 도시들이 통제, 폐쇄되고 ‘사회적 거리 두기’가 시대의 구호가 된 시절에 사람들은 고립되고 있다. 역사가 코로나 19 이전과 이후로 나뉠 것이라는 얘기까지 나도는 가운데, 사람들은 언제 끝날지도 모르는 장기적 혼돈과 불안을 어떻게 헤쳐 나가야 할까? 얼마 전에 <파이낸셜 타임스>(FT)가 이런 시절에 읽을 만한 책들을 자사(自社) 편집자들과 기고자, 작가들의 추천 형식으로 실어 관심을 끌었다. 다시 들여다 본 고전에서부터 위안과 도피, 정신의 고양감을...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