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bpx
최근 편집 2023.06.09. 00:00
k-방역

[이종우 칼럼] 코로나19 이후 다른 세상은 저절로 오지 않는다

중국 후베이(湖北)성 우한(武漢)에서 시작된 코로나19 사태가 어느덧 반년쯤 진행됐다. 세계 각국은 위기 단계의 시차가 있지만 한편으론 방역․의료, 한편으론 경기진작이라는 두 개의 난제를 해결하느라 안간힘을 쓰고 있다.그런 가운데 세계 금융시장은 최근 실물경제와 달리 V자형 곡선을 그리며 빠르게 회복되고 있다. 한국도 주식시장 지표들은 이미 코로나19 이전 수준으로 올라섰다. 가장 큰 원인은 주요 선진국들의 막대한 재정 투입과 양적 완화이지만 코로나19 이후 세상을 낙관하는...

더보기

[김정호 칼럼] 코로나19 방역의 아세안 모델, 南南西로 눈을 돌려보자

코로나19 팬더믹(세계적 유행병)을 겪는 과정에서 세계 주요국들의 방역 성적표는 천차만별이다. 지난 5개월간 선진국인 미국·유럽이 낙제점을 받은 반면 아시아는 오히려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코로나19 방역의 모범국가로서 대한민국 위상은 한껏 높아졌다. 그런 자신감을 바탕으로 우리 사회에선 K-방역을 글로벌 스탠더드로 만들겠다는 야심 찬 계획을 구상하고 있다. 하지만 ‘방역 우등생’이라는 우리에게도 참고할 사례는 많다. 평소 관심이 덜한 곳으로 눈을 돌리면 배울 점을 더 찾을...

더보기

[박원순 시장 강연] 포스트 코로나 시대, 새로운 표준 만들려면 혁신·연대·전환을 실천해야

지난 2월 중순 시작된 코로나19 위기가 좀체 가라앉지 않고 있다. 최근 이태원 발(發)로 촉발된 감염 확산 사태는 우리 방역 능력을 또 다시 시험하고 있다. <피렌체의 식탁>은 박원순 서울시장이 지난달 27일 ‘팬데믹과 동아시아’ 컨퍼런스에서 강연한 내용을 게재한다. 박 시장은 이날 ‘포스트 코로나 시대, 세상을 이끄는 새로운 표준’을 주제로 강연하는 자리에서 몇 번이나 ‘혁신과 연대’를 강조했다. 코로나19 위기에 맞서 한 발 빠른 선제적 대응을 하려면 혁신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