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정인 세종연구소 이사장(전 청와대 외교안보특보)이 <메디치 보라>에 출연해 국제적 현안에 대한 탁견을 제시했다. 우크라이나 전쟁이 어떻게 흘러갈 것인지에서 출발해 미국 패권의 약화와 중견국가들의 연대, 대만 사태, 중국의 북한 영향력에 이르기까지 종횡무진 거침이 없다, 거기에 역대 한국 정부의 방위산업 흥망사는 기존 관념을 깨트리는 신선함이. 세계를 보는 눈이 밝아지는 문 이사장의 인터뷰를 정리했다. [편집자 주] ✔ 약육강식, 각자도생의 새로운 국제질서가...
[고한석의 아시아 포커스] 인도네시아, ‘한 수’높은 중진국 외교의 기술
인도네시아는 우리가 경제적으로 큰 가치를 두면서도 정치나 외교적 측면에서는 평소에 잘 주목하지 않는 나라다. 그러나 고한석 필자는 미중 갈등과 우크라니아 전쟁이라는 혼란 속에서 인도네시아 조코위 대통령의 외교를 주목해볼 필요가 있다고 주장한다. 동남아의 인도네시아 대통령이 지난 달 우크라이나의 키이우와 러시아의 모스크바를 동시에 방문했다. ‘인도미 미션’으로 알려진 이 외교행보는 비동맹 노선을 견지해 온 인도네시아의 외교적 전통의 산물이면서, 국제적 평화 교섭에 나서는...
[Not One Inch 저자 사로티 인터뷰] 푸틴이 말하는 약속은 애초에 없었다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 속에 국제정치학계의 화제를 모으는 책이 있다. 1990년 소비에트 러시아의 붕괴당시 미국과 나토가 단 1인치도 동진하지 않겠다고 약속했다는 내용을 다룬 책이다. 민감한 시기에 민감한 주제를 막 해제된 봉인 외교문서를 재료로 기술했다는 점에서 파이내셜 타임즈를 비롯한 매체들은이 책을 올해의 책, 올해의 필독서로 선정했다. 저자 메리 엘리스 사로티(존스 홉킨스대 교수)를 <피렌체의식탁> 윤영호 기획위원이 단독 인터뷰했다. 나토가 동진하지 않겠다는...
[윤영호가 채집한 목소리] 영국의 우크라이나 난민 리디아, ‘형제(국가)가 둘 뿐이라 얼마나 다행인가’
윤영호 필자가 이번에는 영국으로 피신한 우크라이나 여성 리디아의 목소리를 전한다. 우크라이나 전쟁 난민의 처지이지만, 그녀는 아직 본국 계좌에 연동된 신용카드를 쓸 수 있어 빈털털이 신세는 아닌 21세기형 난민이다. 리듬체조 국가대표 선수 출신으로 안정적이고 만족스러운 직장 생활을 하던 리디야. 전쟁이 나자 그녀는 어머니, 딸, 친구와 함께 당장 입을 옷만 챙겨 들고 부다페스트, 파리를 거쳐 런던으로 피신했다. 본인 스스로도 '문명적인 난민 구호' 혜택을 누릴 수 있어 운이...
[문정인의 ‘포스트 코로나- 문명과 삶’ #3] 피할 수 있었던 우크라이나 전쟁, 우리 모두가 패자
두 번째 대담에서 문정인 교수는 우크라이나와 러시아의 해묵은 역사적 갈등 배경을 설명하고, 다양한 관점에서 전쟁을 바라본다. CNN의 라이브 뉴스로 전달되던 이라크 전쟁에서 한 발 더 나아가,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 소식은 시민들의 SNS로 전세계에 실시간으로 전해지고 있다. 따라서 전쟁에 대한 책임도 실시간으로 물을 수 있는 시대가 되었다. 문정인 교수는 전쟁을 일으킨 책임을 묻는 것도 중요하지만, 막을 수 있었던 이번 전쟁을 막지 못한 것에 개탄하며 현재의 관심은 어떻게...
[윤영호가 채집한 목소리] 어디서도 반기지 않는 벨라루스 32세 여자의 경우
2015년 노벨문학상은 벨라루스의 작가 스베틀라나 알렉시예비치에게 돌아갔다. <전쟁은 여자의 얼굴을 하지 않았다>가 수상작이다. 한국에도 번역, 출판되었다. 알렉시예비치의 ‘목소리 소설(Novels of voices)’이 2차 세계대전 속의 여자를 다루었다면 [윤영호가 채집한 목소리]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속 여자들의 목소리를 담고자 한다. <피렌체의식탁>이 앞서 몇 개의 칼럼에서 게재한 우크라이나 전쟁 칼럼들이 국제정치학적 관점에서 이성적이고...
[유정훈의 D-Brief] 우크라이나 침공은 전세계적 군비확장의 신호탄인가
전쟁사가인 유발 하라리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계기로 입을 열었다. 1차적으로 각 나라들이 국방비를 경쟁적으로 증액할 것을 예측했지만 행간에서는 무장평화(armed peace) 시대의 가능성까지 느껴진다. 이미 국제정치학계에서는 미중 패권경쟁이 가속화되면서 냉전(cold war)의 귀환을 당연시하고 있다. 우크라이나 침공은 좀더 광범위한 국제평화의 후퇴, ‘불안정한 평화(cold peace)’의 보편화를 점치고 있다. 하라리가 참석한 몇몇 대담을 소재로 유정훈 변호사가...
[신동성 칼럼] 러시아의 지정학과 우크라이나의 동서분단 가능성
우크라이나 사태에 대해 한국은 약자인 우크라이나쪽 시각과 미국, 영국등 서방 언론의 시각을 많이 청취했다. 필요하지만 충분치 않은, 정보의 편식이라고 할 수 있다. 러시아의 침공은 어떤 경우에도 정당화될 수 없다. 폭력국가다. 그러나 러시아가 왜 먼저 주먹을 들게 되었는지 과거의 스토리와 현재의 손익을 파악하면 미래를 점치는데 도움이 된다. 행위주체의 입장이자 소수 시각이다. 신동성 필자는 드네프르 강을 경계로 우크라이나를 동서로 분단하는게 러시아의 최소 목표라고 분석한다....
[윤성학 칼럼] 푸틴을 움직인 건 러시아의 패권주의 지정학
소련 붕괴후 러시아에는 구소련 시절의 강대국을 그리워하는 풍조가 나타났다. 푸틴은 석유와 가스 등 에너지+ 자원을 팔아 현금을 쥐게 되자 그러한 대중의 정서를 자신의 권력기반 강화에 활용하기 시작했다. 푸티니즘(Putinism)은 '유럽과 다른 러시아’, 사회주의 대신 ‘정교의 믿음에 충실한 러시아’, 중간규모 강국이 아닌 ‘제국으로서 러시아’를 핵심 가치로 하고 있다. 여기에 알렉산드르 두긴 같은 일군의 ‘심장지대(heartland) 지정학자’들이 공세적 이론을 제공했다....
[신태환 칼럼] 푸틴은 정말 우크라이나를 합병하려는 속셈일까?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사이에 전운이 감돌고 있다. 혹자는 러시아가 허세를 부리고 있을 뿐 실제로 우크라이나를 침공할 가능성은 낮다고 주장한다. 전쟁 발발 여부를 가늠하기 전에 양국 사이에 군사적 긴장이 고조되고 있는 이유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러시아는 미국과 NATO를 상대로 서로 다른 협정문 초안을 보냈다. 두 협정문의 핵심 내용은 미국과 NATO의 행동반경은 제약하고, 반대로 러시아는 우크라이나와 동유럽 그리고 중앙아시아에서 마음껏 행동할 수 있는 자유를 보장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