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렌체의 식탁은 독일의 문화비평지 <Merkur>의 온라인 블로그에 실린 김강기명 필자의 글 ‘WAS EUROPA VON SÜDKOREA NICHT LERNEN KANN’을 수정 번역해 전재합니다. 필자는 2011년 독일로 가서 베를린자유대학에서 스피노자의 정치철학에 관한 논문으로 박사과정을 밟고 있습니다. 이 글에 등장하는 농담들은 대부분 한국인보다 유럽인들을 향한 것이라고 필자는 설명했습니다. 예컨대 글 말미에 비속어가 들어가 있는데 ‘빌어먹을 틴에이저’라는...
[이양수 칼럼] 홍콩 시위, 중국 체제의 민낯을 드러내다
중국 대륙에서 올해 일어난 수많은 사건 중 첫손가락에 꼽힐 사건은 뭘까? 각자의 관점과 경험에 따라 다르겠지만 미중 무역전쟁 또는 홍콩 시위사태를 떠올리는 사람이 많을 것이다. 미중 무역전쟁이 중국의 굴기(崛起)를 견제하려는 미국의 공세 때문이라면, 홍콩 시위사태는 중국공산당에 맞선 750만 홍콩인들의 민주화운동이라고 말할 수 있다. 이번 시위 사태는 시진핑(習近平) 체제의 강고함과 ‘미래 중국’이 어떻게 변화할 것인지 일깨워주는 계기가 됐다. 홍콩 시위사태에서 드러난 중국과...
[민현종 칼럼] 영화 <기생충> 상영 불허를 계기로 살펴본 중국의 속내
봉준호 감독이 만든 영화 <기생충>은 중국 대륙에서 과연 상영될 수 있을까. 이 영화는 ‘칸 영화제 황금종려상 수상’, ‘관객 1000만 돌파’, ‘192개 국가 판매’의 화려한 기록을 갖고 있다. 그럼에도 중국 당국은 지난 7월 말 ‘기술적 문제’를 들어 영화제(칭하이성 퍼스트 청년영화전) 상영을 취소한 뒤 두 달 동안 아예 가부(可否) 표명조차 하지 않고 있다. 국내 영화계에선 중국 검열 당국이 이른바 ‘민감한 부분’을 의식해 상영 불가 입장을 굳힌 것으로...
[이양수 칼럼] 홍콩 앞에 선 시진핑의 세 갈래 길과 한국 ‘가치외교’ 시험대
'송환법' 갈등으로 시작된 홍콩 시위가 장기화되는 것은 물론, 공항 점거 등 시위 방식도 진화하면서 베이징의 고심이 깊어지고 있다. 홍콩 특파원을 지낸 이양수 피렌체의 식탁 주간이 시진핑 주석의 선택지를 가늠해봤다. 홍콩은 서울에서 2000킬로미터 떨어진 곳이지만, 홍콩 사태 격화로 한국에 미칠 경제적, 정치적 영향은 1989년 텐안먼 사태와는 비교할 수 없다. 우리 정부의 각별한 관심과 대책 마련이 필요한 시점이다. [편집자] 한국의 외교 역량을 실험할 ‘홍콩발 태풍’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