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bpx
최근 편집 2023.05.31. 00:00
기후변화

[강인욱 칼럼] 코로나19 시대와 요하문명의 교훈: 변화하라, 흩어져라, 주시하라

사람들은 고대문명이라고 하면 그들이 남겨놓은 찬란한 유적들만 떠올린다. 나일 강의 이집트, 메소포타미아 등 몇몇 거대한 유적에 감탄하는 것이 문명을 이해하는 지름길이라고 생각한다. 문명에 대한 우리의 이런 시각은 20세기를 거치며 서양 중심의 사회가 만들어 놓은 하나의 틀이었다. 성서의 발견이라는 대의명분에서 시작된 서구의 고대문명 연구는 제국주의의 확산과 함께 가속화되었다. 그리고 제2차 세계대전 이후에는 사회진화론적인 접근으로 문명을 바라보았다. 문명은 과연...

더보기

[박상현의 ‘리더의 말과 글’] 툰베리의 트위터 사용법

2019년 한해 스웨덴 십대 그레타 툰베리는 세계인들의 관심을 기후위기로 돌리게 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툰베리가 “기후변화를 위한 학교 파업”을 주장하며 1인시위를 펼치면서 스웨덴 사람들의 관심을 모은 것이 2018년이었다면, 2019년은 그의 활동 무대가 전세계로 확장된 해였다. 특히 지난 여름, 미국 뉴욕에서 열린 UN 기후정상회담을 비롯한 각종 행사에 참여하기 위해 대서양을 건너면서 평소 비행기 여행의 문제를 지적하던 자신의 소신을 지키기 위해 태양광 발전판이...

더보기

[21세기 세 번째 10년을 말한다③ 김종철 선생] “2020년은 결정적 10년…기본소득은 민주주의와 직결”

1991년에 등장한 격월간 <녹색평론>은 무한성장 신화 속에 빠져 있던 한국사회의 진로와 한국인이 추구해 온 삶의 가치에 근원적인 의문을 제기했다. 대학에서 영문학을 가르치던 영문학자・문학평론가 김종철(1947~ ) 교수가 창간한 이 잡지가 이후 30년 가까이 추구하고 전파해 온 ‘녹색적 삶’의 가치는 한국사회 담론의 지평을 인류보편 영역으로 확장하고 현실변화의 새로운 에너지가 됐다. 기본소득과 생태적 소농체제로의 전환을 주창해 왔으며, 자칭 타칭 ‘녹색당...

더보기